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냉장고 가계부"

냉장고 가계부는 냉장고에 들어있는 음식과 재료들, 유통기한 등의 정보를 기록하여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장보기를 위한 도구입니다.


냉장고 가계부 개발 소스는 github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냉장고 가계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은 시리즈로 연재됩니다.
  1.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
  2.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
  3.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
  4.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4
  5.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5
  6.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6
  7.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7
  8.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8
  9.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9
  10.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0
  11.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1
  12.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2
  13.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3
  14.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4
  15.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5
  16.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6
  17.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7
  18.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8
  19.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9
  20.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0
  21.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1
  22.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2
  23.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3
  24.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4
  25.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5
  26.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6
  27.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7
  28.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8
  29.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9
  30.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0
  31.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1
  32.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2
  33.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3
  34.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4
  35.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5
  36.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6
  37.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7
  38.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8
  39.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9
  40.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40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Dolphin 3

100자 이내의 짧은 글을 쓸 수 있는 게시판 제공. Dolphin Project에서 가장 메인 서비스는 예적금 시뮬레이터이므로, 다른 기능 구현은 차후로 미뤄뒀지만,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은 제공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들어 아주 단순한 게시판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글을 쓰려면 로그인을 먼저 해야합니다. 글을 등록 후 삭제할 때 글 작성자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게시판은 Dolphin Frontend Main 페이지에 자리잡았습니다. 사용자가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웹페이지이므로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로그인을 하기 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메인 페이지입니다. 글 상단에는 작성일(MMM-dd-yyyy)과 작성자 고유번호(#numbers)가 노출됩니다. Dolphin 은 네이버 로그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저 고유번호가 됩니다. 하단에는 글 내용이 자리잡습니다. 스크린샷에서는 Hello, world!! 라는 문구가 보이네요. 글은 최대 100자까지 허용합니다. 버튼 두개(Newer, Older) 는 페이징 버튼인데, Newer는 최근페이지로 이동을 하며, Older는 지나간 글을 보는 페이징버튼입니다. 기본 페이지 사이즈는 20개입니다. 오른쪽으로 보이는 글 작성 폼은 현재 로그인 하기 전이므로 textarea 는 disabled 처리되어 있고 Login버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음은 사용자가 로그인 한 뒤의 메인페이지입니다. 변경된 부분은 사용자 고유번호 뒤에 Remove 버튼이 나타났습니다. 해당 글 작성자가 로그인한 사용자일 경우에만 보이게 됩니다. 오른쪽 글 작성 폼도 이제 활성화 되었습니다. 아주 단순한 Textarea 창과 Submit 버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음은 작성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입니다. 사용자 고유번호(#54097272) 옆에 Remove 버튼이...

Dolphin 2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소셜 로그인 기능 제공으로 간편한 로그인 가능. Dolphin 프론트엔드는 회원가입 절차가 따로 없고, 간단하게 소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회원가입, 인증절차를 생략했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국내에서 잘 알려진 네이버의 API를 사용합니다. 네이버 개발자센터 웹사이트 에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기능을 살펴봅니다. 개발 문서를 자세히 살펴보고 API 신청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필수/선택에 체크합니다. 밑으로 내려보면 로그인 API 서비스 환경 부분에서 환경 추가 셀렉트박스에서 PC 웹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입력폼이 나타납니다. 서비스 URL은 내 웹애플리케이션의 URL이 될 예정입니다. 지금은 개발상태이므로 localhost를 입력했습니다. Callback URL은 네이버 OAuth 인증 url로 호출하면, 인증절차 후 네이버에서 리다이렉트해줄 url을 뜻합니다. 저는 /naver/login 으로 했습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client-id와 client-secret 값을 제공해줍니다. 이 값을 이용해서 인증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spring.io 웹사이트의 튜토리얼 문서를 보면 Facebook 소셜 로그인 기능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이 부분을 참고합니다. Spring Boot and OAuth2 pom.xml 파일에 의존성을 추가하고 Application 클래스에 @EnableOAuth2Sso 애너테이션을 선언합니다. 튜토리얼대로 application.yaml 파일(application.properties)에 설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clientId, clientSecret 값은 네이버 개발자센터에서 받은 대로 입력합니다. accessToke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d.naver.com/oauth2.0/token 입니다. userAuthorizatio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6

JdbcTemplate 을 사용하여 DB에 객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보다 Java Persistence API (JPA) 기술 표준을 사용하면 생산성이 훨씬 향상된다. JPA 를 구현하는 프레임워크들 중에서는 Hibernate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제는 JPA와 Hibernate가 같은 의미로 불리기도 한다. JdbcTemplate이나, MyBatis 를 이용하면 SQL Query문을 벤더에 맞게 직접 작성하게 되고, CRUD 같은 쿼리의 경우 단순하게 반복/중복적으로 표현된다. ex)MyBatis <select id="findByUsername" parameterType="String" resultType="User"> SELECT * FROM users WHERE username = #{username} </select> ex)JPA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String> { User findByUsername(String username); } 위의 MyBatis는  보통 UserDao.xml 의 쿼리문을 저장하는 XML 파일이 있고, UserDao.java 인터페이스가 따로 존재한다. 이렇듯 JPA는 생산성이 좋고, MyBatis는 쿼리문을 직접 작성하니까 해당 벤더에 특화된 쿼리문을 작성해서 성능에 이점이 있다. 이 두가지 장점을 다 가져가려면 단순한 쿼리는 JPA를 이용하고, 통계나 리포트같은 부분은 MyBatis를 이용하면 된다. JP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om.xml 에 spring-boot-starter 를 data-jpa로 수정한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