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버전을 2.0.5.RELEASE로 변경한다. 수정되는 부분은 많지 않은데 Spring Data JPA의 CrudRepository 에서 제공하는 findById 메서드가 생겼으므로, 기존에 작성한 repository의 findById 메서드는 삭제한다.
fridge-web 에서는 thymeleaf dialect 가 제공되는 부분이 이제는 명시적으로 의존성을 추가해야 layout을 사용할 수 있다. pom.xml에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
Application.class 파일에서 LayoutDialect 빈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contents html 파일들의 decorate 파일 위치를 다음과 같이 선언해야한다.
그 외의 자잘한 수정만 하면 마이그레이션은 끝난다. 테스트를 실행해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fridge 프로젝트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yaml로 변경한다.
YAML은 좀더 가독성이 좋다. YAML에 대해서는 위키를 참조한다.
yaml 파일은 탭단위로 들여쓰기 때문에 properties 파일에서처럼 반복된 구조가 나오지않는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대신에 application.yml 파일을 새로 만들고 다음의 코드를 작성한다.
작성을 완료하면 파일을 저장하고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삭제하고 테스트를 실행해서 설정이 동일한지 확인한다.
추가된 프로퍼티는 spring.application.name 프로퍼티에 fridge-service 값을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정해준다.
fridge-web 프로젝트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도 yml파일로 변환한다.
설정에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fridge-ui 로 정한다.
fridge-web 프로젝트에서 fridge API 서버와 HTTP 통신은 restTemplate으로 직접 URL을 호출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http://localhost:8081 주소를 호출하는 방식인데, 여기에 Spring Cloud의 Ribbon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서 부하분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수평적으로 서버를 늘리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기술이다.
Spring Cloud Netflix 는 Netflix 에서 만든 오픈소스서비스를 추상화해서 Spring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Neflix OSS 구성에는 별칭인 Eureka, Ribbon, Zuul, Feign, Hystrix, Archaius 가 있다.
Eureka 는 말 그대로 아르키메데스가 외친 유레카! 처럼 서비스의 동적인 등록/발견 기능을 제공한다.
Eureka 서버가 동작중일때 Eureka Client가 서버 스타트되면서 Eureka서버에 알려주고, Eureka서버는 다시 다른 Eureka Client 서버 들에게 알리는 방식이다.
Ribbon은 클라이언트에서 로드밸런싱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Eureka와 결합하면 동적으로 서비스가 추가/제거되는 기능을 통해서 로드밸런싱 서버가 관리되는 장점이 있다.
Zuul은 모든 서비스의 Gateway(관문) 역할을 한다. 모든 API 서버와 모든 외부 접속 클라이언트는 Zuul서버를 통해서 관리되므로 관제, 보안, 성능 측정 등의 통제가 가능하다.
Feign은 RestTemplate을 통한 서버간 통신 방식에서 추상화를 통해서 인터페이스에 호출할 API의 시그니처를 작성하게 해준다.
Hystrix는 실시간 서버 모니터링 기능과, 특정 서비스가 실패할경우 의존성을 가진 다른 서비스에 영향이 전파되지 않도록 막아주고, 주기적 복구기능을 제공한다.
fridge-web 프로젝트의 pom.xml 파일에 ribbon 의존성을 추가한다.
application.yml에서 ribbon 설정을 추가한다.
fridge-service 는 ribbon client에서 호출할 애플리케이션 이름이다. fridge 프로젝트의 application.yml 파일에서 spring.application.name 값이랑 동일하다.
eureka.enabled: false 는 Eureka를 사용하지 않고 Ribbon이 직접 서버 리스트를 관리한다. listOfServers 에서는 fridge 프로젝트의 호스트와 포트가 제공된다.
이 목록에서 제공되는 서버들을 Ribbon의 로드밸런싱 기능을 이용해서 통신할 수 있다.
Application class파일의 RestTemplate 빈 설정부분을 수정한다.
RestTemplate 빈 메서드에 @LoadBalanced 애너테이션을 추가한다. RestTemplate객체가 LoadBalancerClient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builder에서 rootUri 호스트명과 포트를 명시했던 기존의 설정과는 달리 application.yml 에서 설정했던 애플리케이션이름이 선언되었다. fridge-service라는 주소가 호출되면 listOfServers 에서 제공되는 서버들 중에 하나로 연결될것이다.
테스트를 실행해서 통신을 잘 주고받는지 확인한다.
이전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7
다음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8
fridge-web 에서는 thymeleaf dialect 가 제공되는 부분이 이제는 명시적으로 의존성을 추가해야 layout을 사용할 수 있다. pom.xml에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
<dependency> <groupId>nz.net.ultraq.thymeleaf</groupId> <artifactId>thymeleaf-layout-dialect</artifactId> </dependency>
Application.class 파일에서 LayoutDialect 빈을 설정해야 한다.
@Bean public LayoutDialect layoutDialect() { return new LayoutDialect(); }
그리고 contents html 파일들의 decorate 파일 위치를 다음과 같이 선언해야한다.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xmlns:layout="http://www.ultraq.net.nz/thymeleaf/layout" layout:decorate="~{templates/default}">
그 외의 자잘한 수정만 하면 마이그레이션은 끝난다. 테스트를 실행해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fridge 프로젝트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yaml로 변경한다.
YAML은 좀더 가독성이 좋다. YAML에 대해서는 위키를 참조한다.
yaml 파일은 탭단위로 들여쓰기 때문에 properties 파일에서처럼 반복된 구조가 나오지않는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대신에 application.yml 파일을 새로 만들고 다음의 코드를 작성한다.
spring: application: name: fridge-service jpa: hibernate: ddl-auto: valid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format_sql: true jackson: serialization: WRITE_DATES_AS_TIMESTAMPS: false server: port: 8081 logging: level: org: hibernate: type: trace
작성을 완료하면 파일을 저장하고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삭제하고 테스트를 실행해서 설정이 동일한지 확인한다.
추가된 프로퍼티는 spring.application.name 프로퍼티에 fridge-service 값을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정해준다.
fridge-web 프로젝트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도 yml파일로 변환한다.
spring: application: name: fridge-ui server: port: 8080
설정에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fridge-ui 로 정한다.
fridge-web 프로젝트에서 fridge API 서버와 HTTP 통신은 restTemplate으로 직접 URL을 호출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http://localhost:8081 주소를 호출하는 방식인데, 여기에 Spring Cloud의 Ribbon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서 부하분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수평적으로 서버를 늘리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기술이다.
Spring Cloud Netflix 는 Netflix 에서 만든 오픈소스서비스를 추상화해서 Spring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Neflix OSS 구성에는 별칭인 Eureka, Ribbon, Zuul, Feign, Hystrix, Archaius 가 있다.
Eureka 는 말 그대로 아르키메데스가 외친 유레카! 처럼 서비스의 동적인 등록/발견 기능을 제공한다.
Eureka 서버가 동작중일때 Eureka Client가 서버 스타트되면서 Eureka서버에 알려주고, Eureka서버는 다시 다른 Eureka Client 서버 들에게 알리는 방식이다.
Ribbon은 클라이언트에서 로드밸런싱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Eureka와 결합하면 동적으로 서비스가 추가/제거되는 기능을 통해서 로드밸런싱 서버가 관리되는 장점이 있다.
Zuul은 모든 서비스의 Gateway(관문) 역할을 한다. 모든 API 서버와 모든 외부 접속 클라이언트는 Zuul서버를 통해서 관리되므로 관제, 보안, 성능 측정 등의 통제가 가능하다.
Feign은 RestTemplate을 통한 서버간 통신 방식에서 추상화를 통해서 인터페이스에 호출할 API의 시그니처를 작성하게 해준다.
Hystrix는 실시간 서버 모니터링 기능과, 특정 서비스가 실패할경우 의존성을 가진 다른 서비스에 영향이 전파되지 않도록 막아주고, 주기적 복구기능을 제공한다.
fridge-web 프로젝트의 pom.xml 파일에 ribbon 의존성을 추가한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starter-netflix-ribbon</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Management>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dependencies</artifactId> <version>${spring-cloud.version}</version> <type>pom</type> <scope>impor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application.yml에서 ribbon 설정을 추가한다.
fridge-service: ribbon: eureka: enabled: false listOfServers: localhost:8081, localhost:8082, localhost:8083 ServerListRefreshInterval: 15000
fridge-service 는 ribbon client에서 호출할 애플리케이션 이름이다. fridge 프로젝트의 application.yml 파일에서 spring.application.name 값이랑 동일하다.
eureka.enabled: false 는 Eureka를 사용하지 않고 Ribbon이 직접 서버 리스트를 관리한다. listOfServers 에서는 fridge 프로젝트의 호스트와 포트가 제공된다.
이 목록에서 제공되는 서버들을 Ribbon의 로드밸런싱 기능을 이용해서 통신할 수 있다.
Application class파일의 RestTemplate 빈 설정부분을 수정한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 @LoadBalanced @Bean public RestTemplate restTemplate(RestTemplateBuilder builder) { return builder.rootUri("http://fridge-service").build(); } @Bean public LayoutDialect layoutDialect() { return new LayoutDialec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RestTemplate 빈 메서드에 @LoadBalanced 애너테이션을 추가한다. RestTemplate객체가 LoadBalancerClient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builder에서 rootUri 호스트명과 포트를 명시했던 기존의 설정과는 달리 application.yml 에서 설정했던 애플리케이션이름이 선언되었다. fridge-service라는 주소가 호출되면 listOfServers 에서 제공되는 서버들 중에 하나로 연결될것이다.
테스트를 실행해서 통신을 잘 주고받는지 확인한다.
이전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7
다음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