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olphin 2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소셜 로그인 기능 제공으로 간편한 로그인 가능.
Dolphin 프론트엔드는 회원가입 절차가 따로 없고, 간단하게 소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회원가입, 인증절차를 생략했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국내에서 잘 알려진 네이버의 API를 사용합니다.
네이버 개발자센터 웹사이트에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기능을 살펴봅니다.

개발 문서를 자세히 살펴보고 API 신청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필수/선택에 체크합니다.
밑으로 내려보면 로그인 API 서비스 환경 부분에서 환경 추가 셀렉트박스에서 PC 웹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입력폼이 나타납니다.
서비스 URL은 내 웹애플리케이션의 URL이 될 예정입니다. 지금은 개발상태이므로 localhost를 입력했습니다.
Callback URL은 네이버 OAuth 인증 url로 호출하면, 인증절차 후 네이버에서 리다이렉트해줄 url을 뜻합니다. 저는 /naver/login 으로 했습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client-id와 client-secret 값을 제공해줍니다. 이 값을 이용해서 인증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spring.io 웹사이트의 튜토리얼 문서를 보면 Facebook 소셜 로그인 기능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이 부분을 참고합니다.
Spring Boot and OAuth2

pom.xml 파일에 의존성을 추가하고 Application 클래스에 @EnableOAuth2Sso 애너테이션을 선언합니다.


튜토리얼대로 application.yaml 파일(application.properties)에 설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clientId, clientSecret 값은 네이버 개발자센터에서 받은 대로 입력합니다.
accessToke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d.naver.com/oauth2.0/token 입니다.
userAuthorizatio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d.naver.com/oauth2.0/authorize 입니다.
tokenName 은 네이버의 경우 Authorization 입니다.
authenticationScheme 는 네이버의 경우 header 입니다.
clientAuthenticationScheme 는 네이버의 경우 query 입니다.
resource.userInfoUri 는 네이버의 경우 https://openapi.naver.com/v1/nid/me 입니다.

네이버는 개발자 문서에 나와있듯이 인증 요청시 header 에 Authorization 값을 보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프로필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authenticationScheme 가 header 방식으로 동작해야 합니다.
clientAuthenticationScheme 는 일반적은 query string 방식을 사용합니다.

Spring Security Configuration 클래스를 작성합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SecurityConfig extends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
 
 @Autowired
 OAuth2ClientContext oauth2ClientContext;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Override
 protected void configure(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http
   .authorizeRequests()
    .antMatchers("/", "/login", "/webjars/**", "/error**").permitAll()
    .requestMatchers(PathRequest.toStaticResources().atCommonLocations()).permitAll()
    .anyRequest().authenticated()
   .and()
    .exceptionHandling()
    .authenticationEntryPoint(new LoginUrlAuthenticationEntryPoint("/login"))
   .and()
    .logout()
    .logoutUrl("/signout")
    .logoutSuccessUrl("/").permitAll()
   .and()
    .csrf()
    .csrfTokenRepository(CookieCsrfTokenRepository.withHttpOnlyFalse())
   .and()
   .addFilterBefore(ssoFilter(), BasicAuthenticationFilter.class);
 }
 
 @Bean
 public FilterRegistrationBean<OAuth2ClientContextFilter> oauth2ClientFilterRegistration(OAuth2ClientContextFilter filter) {
  FilterRegistrationBean<OAuth2ClientContextFilter> registration = new FilterRegistrationBean<OAuth2ClientContextFilter>();
  registration.setFilter(filter);
  registration.setOrder(-100);
  return registration;
 }

 private Filter ssoFilter() {
  OAuth2Clien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 naverFilter = new OAuth2Clien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
    "/login/naver");
  OAuth2RestTemplate naverTemplate = new OAuth2RestTemplate(naver(), oauth2ClientContext);
  naverFilter.setRestTemplate(naverTemplate);
  UserInfoTokenServices tokenServices = new UserInfoTokenServices(naverResource().getUserInfoUri(),
    naver().getClientId());
  tokenServices.setPrincipalExtractor(new NaverPrincipalExtractor());
  tokenServices.setRestTemplate(naverTemplate);
  naverFilter.setTokenServices(tokenServices);
  naverFilter.setAuthenticationSuccessHandler(new SocialAuthenticationSuccessHandler(memberService));
  return naverFilter;
 }

 @Bean
 @ConfigurationProperties("naver.client")
 public AuthorizationCodeResourceDetails naver() {
  return new AuthorizationCodeResourceDetails();
 }

 @Bean
 @ConfigurationProperties("naver.resource")
 public ResourceServerProperties naverResource() {
  return new ResourceServerProperties();
 }
 
 private class NaverPrincipalExtractor implements PrincipalExtracto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RESPONSE_KEY = "response";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RINCIPAL_KEY = "id";
  
  @SuppressWarnings("unchecked")
  @Override
  public Object extractPrincipal(Map<String, Object> map) {
   if(map.containsKey(RESPONSE_KEY)) {
    Map<String, Object> response = (Map<String, Object>) map.get(RESPONSE_KEY);
    if(response.containsKey(PRINCIPAL_KEY)) {
     return response.get(PRINCIPAL_KEY);
    }
   }
   return null;
  }
  
 }

}

눈여겨 볼 부분은 oauth2ClientFilterRegistration 빈 메서드를 선언해줌으로써 필터 순서를 조정합니다.
그리고, ssoFilter 메서드는 실제로 Filter 클래스를 반환해서 configure 메서드에서 addFilterBefore에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두번째 인자값인 beforeFilter 클래스보다 먼저 수행할 Filter 를 등록하는 부분입니다. 즉, BasicAuthenticationFilter 보다 OAuth2Clien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 를 먼저 필터링한다는 뜻입니다.

OAuth2 인증을 위해서는 인증절차에 사용되는 OAuth2RestOperations 구현체이며 RestTemplate 클래스를 상속받은 OAuth2RestTemplate 클래스를 filter에 set해줍니다.
RestTemplate을 이용하여 HTTP 통신을 사용함을 알 수 있습니다.

OAuth2RestTemplate 의 생성자 첫번째 인자로 naver() 빈메서드가 전달됩니다.
application.yaml 파일에서 설정했던 naver.client 의 속성값들이 AuthorizationCodeResourceDetails 클래스에 인스턴스로 구현됩니다.

OAuth2Clien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 클래스는 ResourceServerTokenServices 클래스를 세터로 전달받습니다.
OAuth2RestTemplate 으로 accessToken 을 얻어내면, UserInfoTokenService 클래스를 이용해서 Resource 정보(ex. 프로필정보) 등을 받아냅니다.

Naver 프로필 정보에서 Principal을 만들기 위해서 PrincipalExtractor 클래스를 구현한 NaverPrincipalExtractor 내부 클래스를 작성합니다.

Naver API 에서 사용자의 프로필정보에는 고유번호인 id 필드가 전달됨으로, 이 값을 Principal 의 name으로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naverFilter 변수에 authenticationSuccessHandler 를 전달합니다.
필터의 마지막에 인증이 성공한 경우 AuthenticationSuccessHandler 의 onAuthenticationSuccess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이 메서드에서, Authentication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를 토대로 Dolphin 서버에 프로필 정보를 저장합니다.

SocialAuthenticationSuccessHandler 클래스 소스코드는 다음과 같이 구현했습니다.

Abstrac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 추상클래스에서는 authenticationSuccessHandler 클래스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 디폴트로 SavedRequestAwareAuthenticationSuccessHandler 클래스를 사용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클래스를 그대로 사용하되, 내부에 Dolphin Member 로 등록하는 과정만을 추가하였습니다.

이제, OAuth2Clien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 생성자 인자로 전달했던, defaultFilterProcessingUrl 인 /login/naver 를 호출하면 네이버 로그인 절차가 진행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레거시 코드 활용 전략 - 마이클 C. 페더스

2장. 효과적인 피드백 활용 레거시 코드 변경 알고리즘 변경 지점을 식별한다. 테스트 지점을 찾는다. 의존관계를 깬다. 테스트 루틴을 작성한다. 변경시키고 리팩토링한다. 3장. 감지와 분리 레거시코드를 원자 단위까지 분리하여 변경지점을 식별한다. 의존관계를 가진 객체의 경우 Mock/Fake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로 의존성을 깬다. 테스트 루틴을 작성 -> 수정 -> 테스트 성공 -> 리팩토링 단계를 반복한다. 4장. 봉합 자바에서는 클래스패스를 이용한 다른 버전의 클래스를 만들수 있다. 5장. 레거시 코드를 위한 도구 JUnit 6장. 고칠 건 많고 시간은 없고 발아(Sprout) Method / Class: 메서드/클래스를 추가 포장(Wrap) Method / Class: 기존 메서드/클래스를 포장하는 메서드/클래스를 추가(데코레이터 패턴) 7장. 코드 하나 바꾸는데 왜 이리 오래 걸리지? 의존관계 반전 원칙 당신의 코드가 인터페이스에 종속되는 경우, 그 의존관계는 사실 경미한 수준으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인터페이스가 변하지 않는 한, 코드를 변경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인터페이스들은 그들 아래에 위치한 코드에 비해 훨씬 적은 빈도로 변경된다. 인터페이스를 하나 가지고 있는 경우,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들을 편집하거나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클래스들을 추가할 수 있다. 물론 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코드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다. 이런 이유 때문에 구체 클래스보다는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에 종속되는 편이 좋다. 덜 변하는 것들에 종속됨으로써 특정 변경이 초래할지도 모를 대규모 재컴파일 사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8장. 특징, 어떻게 추가할까? 테스트 주도 개발 실패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컴파일되게 만든다. 테스트에 통과하도록 만든다. 중복을 제거한다. 반복한다.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1

fridge-web에서 fridge 개인화 영역을 아직 구현하지 못했다. 개인화 데이터의 관리는 별도의 도메인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fridge-member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fridge-member 의존성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같다.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hateoas</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groupId> <artifactId>hibernate-java8</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fasterxml.jackson.datatype</groupId> <artifactId>jackson-datatype-jsr310</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data-jpa</artifactId> </dependency> <!-- Spring Cloud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cli

Docker Hadoop Hbase

Docker Hadoop Zookeeper 글에서 만든 컨테이너에서 계속 작업합니다. 우선 hduser로 접속합니다. 그리고 hbase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바이너리 파일을 /usr/local/hbase 로 옮겨주고 권한을 줍니다. su hduser cd /tmp wget http://archive.apache.org/dist/hbase/stable/hbase-1.4.7-bin.tar.gz tar xvf hbase-1.4.7-bin.tar.gz sudo mkdir /usr/local/hbase sudo mv hbase-1.4.7/* /usr/local/hbase sudo chown -R hduser:hadoop /usr/local/hbase ./conf/hbase-env.sh 파일에서 JAVA_HOME 환경변수를 설정합니다. vim ./conf/hbase-env.sh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8-oracle 이제 로컬 파일시스템으로 동작하는 hbase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hbase shell 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bin/start-hbase.sh ./bin/hbase shell Pseudo-Distributed Local System 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설정을 몇가지를 추가하면 됩니다. 먼저, hbase가 실행중이라면 중지합니다. ./bin/stop-hbase.sh hbase-site.xml 파일을 편집합니다. vim ./conf/hbase-site.xml <property> <name>hbase.cluster.distributed</name> <value>true</value> </property> <property> <name>hbase.rootdir</name> <value>hdfs://localhost: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