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bbon을 통해서 API서버와의 로드밸런싱은 잘 작동한다. 하지만, fridge-service 서버가 추가로 등록되면 application.yml 파일을 열고 listOfServers 프로퍼티에 추가로 등록된 서버의 주소를 입력하고 다시 빌드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아이피, 포트를 직접 환경설정파일에 할당하는것도 마찬가지다.
Eureka 서버를 구성하고, fridge-service, fridge-web 서비스가 Eureka Client가 되어 Eureka 서버에서 서버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으면, 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fridge-eureka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의존성은 Cloud Discovery 의 Eureka Server를 체크하고 Finish를 클릭한다.
SpringBootApplication 파일명을 EurekaServiceApplication으로 변경하고, @EnableEurekaServer 애너테이션을 추가한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yml로 변경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을 편집한다.
애플리케이션명은 eureka-server 이며, port 8761번을 사용한다.
Eureka 서버가 기동하면 디폴트값으로 레플리카 노드를 찾는데 이것은 운영환경일 경우 복제노드를 따로 준비하는 경우에 필요하므로 로그를 끄고(logging.level.com.netflix), Eureka 서버 자신도 client로 등록시키려는 것 또한 하지 않기 위해 eureka.client 설정을 한다.
이제 eureka-server 를 기동하고 localhost:8761을 접속해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등록된 인스턴스가 없다.
fridge 서버를 Eureka 서버가 관리하는 eureka client로 등록하기 위해 fridge 프로젝트의 pom.xml 에 eureka-client 의존성을 추가한다.
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client 의존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Application.class 파일에 @EnableDiscoveryClient 애너테이션을 추가한다.
이제 서버를 실행하면 Eureka Server를 찾고 발견하면 서비스를 등록한다.
Fridge-service 가 등록되었다. 위에 Emergency 에러문구는 인스턴스의 숫자가 변경되었다고 경고하는 문구이다. fridge-service 가 호출되면 사라진다.
fridge-web 프로젝트도 마찬가지로 Eureka Client로 등록한다.
이제 Eureka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동적으로 등록되고 삭제된다. 또한, Eureka 서버에서 Eureka 클라이언트들에게 동적으로 등록되고 삭제된 서버목록을 제공하므로 애플리케이션명으로 서로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Eureka 내부적으로 Ribbon 모듈을 활용하기 때문에 fridge-web 프로젝트에서 ribbon 의존성을 굳이 중복해서 가져갈 필요가 없다.
fridge-web 프로젝트의 pom.xml에서 ribbon 의존성을 삭제한다(eureka-client 의존성은 그대로 둔다).
application.yml 파일에서 fridge-service 프로퍼티전부를 삭제한다.
이제 다시 서버를 구동해서 UI서버를 호출해보면 ribbon을 썻을때와 동일한 로그가 보이며 정상 작동한다.
이전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8
다음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9
Eureka 서버를 구성하고, fridge-service, fridge-web 서비스가 Eureka Client가 되어 Eureka 서버에서 서버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으면, 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fridge-eureka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의존성은 Cloud Discovery 의 Eureka Server를 체크하고 Finish를 클릭한다.
SpringBootApplication 파일명을 EurekaServiceApplication으로 변경하고, @EnableEurekaServer 애너테이션을 추가한다.
@EnableEurekaServer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EurekaServic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EurekaServiceApplication.class, args);
}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yml로 변경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을 편집한다.
spring:
application:
name: eureka-server
server:
port: 8761
eureka:
client:
register-with-eureka: false
fetch-registry: false
logging:
level:
com.netflix.eureka: off
com.netflix.discovery: off
애플리케이션명은 eureka-server 이며, port 8761번을 사용한다.
Eureka 서버가 기동하면 디폴트값으로 레플리카 노드를 찾는데 이것은 운영환경일 경우 복제노드를 따로 준비하는 경우에 필요하므로 로그를 끄고(logging.level.com.netflix), Eureka 서버 자신도 client로 등록시키려는 것 또한 하지 않기 위해 eureka.client 설정을 한다.
이제 eureka-server 를 기동하고 localhost:8761을 접속해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등록된 인스턴스가 없다.
fridge 서버를 Eureka 서버가 관리하는 eureka client로 등록하기 위해 fridge 프로젝트의 pom.xml 에 eureka-client 의존성을 추가한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client</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Management>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dependencies</artifactId>
<version>${spring-cloud.version}</version>
<type>pom</type>
<scope>impor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client 의존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Application.class 파일에 @EnableDiscoveryClient 애너테이션을 추가한다.
@SpringBootApplication
@EnableJpaAuditing
@EnableDiscoveryClient
public class Fridg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FridgeApplication.class, args);
}
}
이제 서버를 실행하면 Eureka Server를 찾고 발견하면 서비스를 등록한다.
Fridge-service 가 등록되었다. 위에 Emergency 에러문구는 인스턴스의 숫자가 변경되었다고 경고하는 문구이다. fridge-service 가 호출되면 사라진다.
fridge-web 프로젝트도 마찬가지로 Eureka Client로 등록한다.
이제 Eureka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동적으로 등록되고 삭제된다. 또한, Eureka 서버에서 Eureka 클라이언트들에게 동적으로 등록되고 삭제된 서버목록을 제공하므로 애플리케이션명으로 서로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Eureka 내부적으로 Ribbon 모듈을 활용하기 때문에 fridge-web 프로젝트에서 ribbon 의존성을 굳이 중복해서 가져갈 필요가 없다.
fridge-web 프로젝트의 pom.xml에서 ribbon 의존성을 삭제한다(eureka-client 의존성은 그대로 둔다).
application.yml 파일에서 fridge-service 프로퍼티전부를 삭제한다.
이제 다시 서버를 구동해서 UI서버를 호출해보면 ribbon을 썻을때와 동일한 로그가 보이며 정상 작동한다.
이전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8
다음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