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9

Fridge 프로젝트를 열고 수정, 삭제, 전체삭제 기능을 구현한다.
먼저 Repository 테스트 클래스부터 작성한다.
@RunWith(SpringRunner.class)
@DataJpaTest
public class JpaFridgeRepositoryTests {
    
    @Autowired
    JpaFridgeRepository jpaFridgeRepository;
    
    @Test
    public void createFridge() {
        String nickname = "myFridge";
        Fridge fridge = jpaFridgeRepository.save(new Fridge(nickname));
        assertThat(fridge).isNotNull();
        assertThat(fridge.getNickname()).isEqualTo(nickname);
        assertThat(fridge.getNickname()).isNotEqualTo("another nickname");
    }
    
    @Test
    public void update() {
        Fridge fridge = jpaFridgeRepository.save(new Fridge("myFridge"));
        assertThat(jpaFridgeRepository.findOne(fridge.getId())).isNotNull();
        
        Fridge changeNicknameFridge = new Fridge("otherFridge");
        changeNicknameFridge.setId(fridge.getId());
        jpaFridgeRepository.save(changeNicknameFridge);
        
        Fridge savedFridge = jpaFridgeRepository.findOne(fridge.getId());
        assertThat(savedFridge.getNickname()).isEqualTo(changeNicknameFridge.getNickname());
    }
    
    @Test
    public void remove() {
        Fridge fridge = jpaFridgeRepository.save(new Fridge("myFridge"));
        assertThat(jpaFridgeRepository.findOne(fridge.getId())).isNotNull();
        assertThat(jpaFridgeRepository.count()).isEqualTo(1L);
        
        jpaFridgeRepository.delete(fridge.getId());
        assertThat(jpaFridgeRepository.count()).isZero();
    }

}

JpaFridgeRepositoryTests 테스트 클래스에 update, remove 테스트 메서드를 추가하고 간단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update 메서드는 myFridge 라는 닉네임을 가진 Fridge 객체를 저장한다. 그리고 otherFridge라는 별도의 Fridge 객체를 생성한 후 myFridge 객체의 id를 전달한다.
changeNicknameFridge 객체를 저장하면 기존 myFridge 닉네임이 변경되는 것을 검증한다.
remove 메서드는 fridge 객체를 저장하고 삭제한 후 전체 레코드수를 검증한다.

API 제공을 위한 FridgeController 클래스의 테스트 클래스를 작성한다.
    @Test
    public void put() throws Exception {
        given(fridgeRepository.findOne(anyInt())).willReturn(myFridge);
        given(fridgeService.save(any(Fridge.class))).willReturn(myFridge);
        URI uri = UriComponentsBuilder.fromUriString("/fridges/{id}").buildAndExpand(ID).toUri();
        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put(uri)
                .content(mapper.writeValueAsString(myFridge))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_UTF8))
            .andExpect(status().isNoContent())
            .andExpect(content().string(""));
    }
    
    @Test
    public void delete() throws Exception {
        given(fridgeRepository.findOne(anyInt())).willReturn(myFridge);
        URI uri = UriComponentsBuilder.fromUriString("/fridges/{id}").buildAndExpand(ID).toUri();
        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delete(uri)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_UTF8))
            .andExpect(status().isNoContent())
            .andExpect(content().string(""));
    }
    
    @Test
    public void deleteAll() throws Exception {
        doNothing().when(fridgeService).removeAll();
        URI uri = UriComponentsBuilder.fromUriString("/fridges").build().toUri();
        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delete(uri))
            .andExpect(status().isNoContent())
            .andExpect(content().string(""));
        verify(fridgeService, times(1)).removeAll();
    }

put, delete, deleteAll 메서드는 FoodControllerTests 메서드와 동일한 스타일이다. put메서드는 PUT방식으로 /fridges/{id} URL 을 호출한다. 요청 본문에는 수정 내용이 담긴 Fridge 클래스의 JSON 데이터가 전달된다. 응답상태는 NO CONTENT, 응답본문은 비어있다.
delete 메서드는 DELETE 방식으로 /fridges/{id} URL을 호출한다. 요청본문은 없으며, 응답상태는 NO_CONTENT, 응답내용은 비어있다.
deleteAll 메서드는 DELETE방식으로 /fridges URL을 호출한다. 응답상태는 NO Content, 응답본문은 비어있다. Mock 객체 fridgeService 의 removeAll 메서드가 1번 호출됨을 검증한다.
이제 FridgeController 클래스를 구현한다.
    @PutMapping("/{id}")
    public ResponseEntity<?> updateFridge(@PathVariable final int id, @RequestBody final Fridge fridge) {
        if(jpaFridgeRepository.findOne(id) != null) {
            fridgeService.save(fridge);
        }
        return ResponseEntity.noContent().build();
    }
    
    @DeleteMapping("/{id}")
    public ResponseEntity<?> deleteFridgeById(@PathVariable final int id) {
        if(jpaFridgeRepository.findOne(id) != null) {
            fridgeService.remove(id);
        }
        return ResponseEntity.noContent().build();
    }
    
    @DeleteMapping
    public ResponseEntity<?> deleteAllFridge() {
        fridgeService.removeAll();
        return ResponseEntity.noContent().build();
    }

updateFridge 메서드는 Http방식이 Put이고, URL은 /fridges/{id} URI변수 방식으로 매핑된다. 요청본문에 Fridge 객체를 전달받고, uri 변수값 id 변수를 이용해서 repository에서 객체를 호출한다. 데이터가 존재하면 요청본문의 Fridge객체를 persist(save)한다. 리턴값은 ResponseEntitty이다.
deleteFridgeById 메서드는 Http방식이 Delete이고, URL은 /fridges/{id} URI변수 방식으로 매핑된다. uri 변수값 id 변수를 이용해서 repository에서 객체를 호출한다. 데이터가 존재하면 해당 id를 remove메서드에 파라미터로 전달해서 데이터를 삭제한다.
deleteAllFridge 메서드는 Http방식이 Delete이고, URL은 /fridges 로 매핑된다. removeAll 메서드가 호출해서 전체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제 web 프로젝트를 열고 Fridge 수정/삭제 UI를 구현한다. 먼저, FridgeControllerTests 테스트부터 작성한다.
    @Override
    protected void setUp() {
        restTemplate.delete(FRIDGE_API_URL + "/fridges", Collections.emptyMap());
    }

    @Test
    public void changeNickNameAndSubmit() {
        FridgeCommand fridge = new FridgeCommand();
        fridge.setNickname("myFridge");
        fridge.setId(createFridge(fridge));
        
        browser.get(BASE_URL + "/fridges/" + fridge.getId());
        
        String changeNickname = "otherFridge";
        WebElement nicknameElement = browser.findElement(By.name("nickname"));
        assertThat(nicknameElement.getAttribute("value")).isEqualTo(fridge.getNickname());
        
        nicknameElement.clear();
        nicknameElement.sendKeys(changeNickname);
        browser.findElementByTagName("form").submit();
        
        WebDriverWait wait = new WebDriverWait(browser, 10);
        wait.until(ExpectedConditions.alertIsPresent());
        
        Alert alert = browser.switchTo().alert();
        assertThat(alert.getText()).isEqualTo(changeNickname + "을 수정했습니다.");
        alert.accept();
        
        browser.get(BASE_URL + "/fridges/" + fridge.getId());
        assertThat(browser.findElement(By.name("nickname")).getAttribute("value")).isEqualTo(changeNickname);
    }
    
    @Test
    public void clickDeleteFridgeButton() {
        FridgeCommand fridge = new FridgeCommand();
        fridge.setNickname("myFridge");
        fridge.setId(createFridge(fridge));
        
        browser.get(BASE_URL + "/fridges/" + fridge.getId());
        
        WebElement deleteBtn = browser.findElement(By.linkText("삭제"));
        assertThat(deleteBtn.getAttribute("href")).isEqualTo(BASE_URL + "/fridges/delete/" + fridge.getId());
        deleteBtn.click();
        
        WebDriverWait wait = new WebDriverWait(browser, 10);
        wait.until(ExpectedConditions.alertIsPresent());
        Alert alert = browser.switchTo().alert();
        assertThat(alert.getText()).isEqualTo("삭제했습니다.");
        alert.accept();
        
        ResponseEntity<FridgeCommand> response = restTemplate.getForEntity(FRIDGE_API_URL + "/fridges/" + fridge.getId(), FridgeCommand.class);
        assertThat(response.getStatusCode()).isEqualTo(HttpStatus.NO_CONTENT);
    }

setUp 메서드에 전체 삭제기능을 호출해서 테스트 메서드가 실행전에 데이터를 초기화해준다.
changeNicknameAndSubmit 메서드는 새로 생성한 fridge 상세페이지로 이동해서 nickname 필드 값을 변경하고 submit해서 alert 상태메시지를 검증한 후 다시 상세페이지로 이동해서 nickname필드를 다시 검증한다.

clickDeleteFridgeButton 메서드는 새로 생성한 fridge 상세페이지로 이동해서 삭제 앵커태그를 찾고 anchor 태그의 href 속성값이 삭제URL과 동일한지 검증한다. 검증을 통과하면 click해서 서버를 호출하고 alert 상태메시지를 검증한다. HTTP 통신으로 fridge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한번 더 검증한다.

다음은 상세페이지 updateFridgeForm.html 파일이다.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itle>Fridge</title>
</head>
<body>
  <h2>냉장고 상세</h2>
  <form th:action="@{/fridges/{id}(id=${fridgeCommand.id})}" th:object="${fridgeCommand}" th:method="put">
 <div th:if="${#fields.hasErrors('*')}">
     <ul>
         <li th:each="err : ${#fields.errors('*')}" th:text="${err}">Input is incorrect</li>
     </ul>
 </div>
    <label for="nickname">이름: 
     <input type="text" th:field="*{nickname}" />
    </label><br/>
    <button type="submit">저장</button>
    <a href="/fridges/delete/1" th:href="@{/fridges/delete/{id}(id=*{id})}">삭제</a>
  </form>
</body>
</html>

변경된 부분은 삭제 앵커태그가 submit버튼 옆에 생겼다. 다른 곳은 수정된 곳이 없다.
다음은 FridgeController 구현이다.
    @PutMapping("/{id}")
    public String processUpdateFridge(@PathVariable int id, @Valid FridgeCommand fridgeCommand, Errors errors, RedirectAttributes ra) {
        if(errors.hasErrors()) {
            return "fridges/updateFridgeForm";
        }
        
        restTemplate.put("/fridges/{id}", fridgeCommand, id);
        ra.addFlashAttribute("registerMessage", fridgeCommand.getNickname() + "을 수정했습니다.");
        return "redirect:/fridges";
    }
    
    @GetMapping("/delete/{id}")
    public String deleteFridge(@PathVariable int id, RedirectAttributes ra) {
        restTemplate.delete("/fridges/{id}", id);
        ra.addFlashAttribute("registerMessage", "삭제했습니다.");
        return "redirect:/fridges";
    }

processUpdateFridge 메서드는 Put방식, /fridges/{id} URL로 매핑하며 FridgeCommand 가 요청본문에 전달된다. Validation을 통과하면 restTemplate으로 API서버와 HTTP 통신을 한다. flashAttribute에는 registerMessage 라는 키값과 메시지 Value를 fridges URL로 리다이렉트한다.
deleteFridge 메서드는 GET 방식, /fridges/delete/{id} URL로 매핑한다. restTemplate으로 API서버에 DELETE방식으로 /fridges/{id} URL을 호출한다. 상태메시지를 flashAttribute에 담아서 /fridges URL로 리다이렉트한다.

테스트를 수행해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이전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18
다음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20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Dolphin 3

100자 이내의 짧은 글을 쓸 수 있는 게시판 제공. Dolphin Project에서 가장 메인 서비스는 예적금 시뮬레이터이므로, 다른 기능 구현은 차후로 미뤄뒀지만,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은 제공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들어 아주 단순한 게시판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글을 쓰려면 로그인을 먼저 해야합니다. 글을 등록 후 삭제할 때 글 작성자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게시판은 Dolphin Frontend Main 페이지에 자리잡았습니다. 사용자가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웹페이지이므로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로그인을 하기 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메인 페이지입니다. 글 상단에는 작성일(MMM-dd-yyyy)과 작성자 고유번호(#numbers)가 노출됩니다. Dolphin 은 네이버 로그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저 고유번호가 됩니다. 하단에는 글 내용이 자리잡습니다. 스크린샷에서는 Hello, world!! 라는 문구가 보이네요. 글은 최대 100자까지 허용합니다. 버튼 두개(Newer, Older) 는 페이징 버튼인데, Newer는 최근페이지로 이동을 하며, Older는 지나간 글을 보는 페이징버튼입니다. 기본 페이지 사이즈는 20개입니다. 오른쪽으로 보이는 글 작성 폼은 현재 로그인 하기 전이므로 textarea 는 disabled 처리되어 있고 Login버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음은 사용자가 로그인 한 뒤의 메인페이지입니다. 변경된 부분은 사용자 고유번호 뒤에 Remove 버튼이 나타났습니다. 해당 글 작성자가 로그인한 사용자일 경우에만 보이게 됩니다. 오른쪽 글 작성 폼도 이제 활성화 되었습니다. 아주 단순한 Textarea 창과 Submit 버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음은 작성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입니다. 사용자 고유번호(#54097272) 옆에 Remove 버튼이...

Dolphin 2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소셜 로그인 기능 제공으로 간편한 로그인 가능. Dolphin 프론트엔드는 회원가입 절차가 따로 없고, 간단하게 소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회원가입, 인증절차를 생략했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국내에서 잘 알려진 네이버의 API를 사용합니다. 네이버 개발자센터 웹사이트 에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기능을 살펴봅니다. 개발 문서를 자세히 살펴보고 API 신청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필수/선택에 체크합니다. 밑으로 내려보면 로그인 API 서비스 환경 부분에서 환경 추가 셀렉트박스에서 PC 웹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입력폼이 나타납니다. 서비스 URL은 내 웹애플리케이션의 URL이 될 예정입니다. 지금은 개발상태이므로 localhost를 입력했습니다. Callback URL은 네이버 OAuth 인증 url로 호출하면, 인증절차 후 네이버에서 리다이렉트해줄 url을 뜻합니다. 저는 /naver/login 으로 했습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client-id와 client-secret 값을 제공해줍니다. 이 값을 이용해서 인증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spring.io 웹사이트의 튜토리얼 문서를 보면 Facebook 소셜 로그인 기능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이 부분을 참고합니다. Spring Boot and OAuth2 pom.xml 파일에 의존성을 추가하고 Application 클래스에 @EnableOAuth2Sso 애너테이션을 선언합니다. 튜토리얼대로 application.yaml 파일(application.properties)에 설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clientId, clientSecret 값은 네이버 개발자센터에서 받은 대로 입력합니다. accessToke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d.naver.com/oauth2.0/token 입니다. userAuthorizatio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

Dolphin 1

금융감독원 OPEN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 수집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OPEN API 를 사용합니다. 먼저, API 키를 신청합니다. https://finlife.fss.or.kr/PageLink.do?link=openapi/certification&menuId=2000119  로 접속합니다. 약관에 동의하고 본인인증 후, 신상정보를 넘기면 바로 API 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상세 및 테스트 페이지를 들어가보면 요청 파라미터와 응답 API 형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읽어보면 서비스 명에 따라 url이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면 요청 URL은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파라미터에 인증키, 권역코드, 페이지번호를 전달하면 됩니다. 응답부분은 서비스마다 다르지만 공통 응답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러코드, 에러메시지, 전체 개수, 전체 페이지, 현재 페이지 번호 입니다. 예금상품 조회 서비스나 적금상품 조회 서비스의 경우 공통적으로 금융회사 코드와 이름을 전달해주는데 해당 금융회사의 상세한 정보를 보려면 금융회사 조회 서비스도 호출하는게 나중에 좋을것 같습니다. Spring으로 HTTP 통신을 위해서 Apache HttpComponent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메이븐에 다음과 같이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dependency> <groupId>org.apache.httpcomponents</groupId> <artifactId>httpclient</artifactId> </dependency> 다음은 API를 호출하는 간단한 소스코드 조각입니다. CloseableHttpClient httpClient = HttpClients.createDefault(); URI uri = new URIBuilder() .setScheme("http") .setH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