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7

fridge 프로젝트도 member 프로젝트와 같이 Spring Data Rest 를 사용하여 코드를 정리한다.
response 본문에 id 가 표시되도록 RepositoryRestConfig 클래스를 작성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RepositoryRestConfig extends RepositoryRestConfigurerAdapter {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RepositoryRestConfiguration(RepositoryRestConfiguration config) {
        config.exposeIdsFor(Fridge.class, Food.class);
    }

}

Fridge, Food 클래스 두 엔티티의 Id를 노출한다.

FridgeRepository, Food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RepositoryRestResource 애너테이션을 선언한다.
@RepositoryRestResource
public interface Fridge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Fridge, Integer> {
    Optional<Fridge> findByUserId(@Param("userId") Long userId);
}
@RepositoryRestResource
public interface Food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Food, Long> {
    
}

FridgeRepository의 findByUserId 메서드의 파라미터에 @Param("userId") 애너테이션을 선언한다.
findByUserId 메서드는 fridges/search/findByUserId GET URL 형태로 제공된다. @Param("userId") 를 선언하면 QueryString userId를 키로 사용한다.
예를들어 http://localhost:8080/fridges/search/findByUserId?userId=1004 처럼 호출하면 쿼리스트링으로 전달된 파라미터 UserID 값을 가진 Fridge 객체가 응답결과로 전달된다.

이제 fridge 프로젝트의 controller, service 등의 클래스가 전부 정리된다.

fridge 프로젝트의 API endpoint 가 변경됨에 따라 web 프로젝트도 코드를 수정한다.

FridgeClient 클래스는 Feign Client로 fridge 서버와 HTTP 통신을 한다. 해당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FeignClient(name="fridge-service", configuration=FeignConfig.class)
public interface FridgeClient {
    
    @GetMapping("/fridges/search/findByUserId")
    Fridge loadByUserId(@RequestParam("userId") long userId) throws NotFoundException;
    
    @GetMapping("/fridges/{id}/foods")
    Resources<Food> loadFoodsByFridgeId(@PathVariable("id") int id);
    
    ...

}

다른 메서드는 동일하지만 loadByUserId 메서드는 /fridges/search/findByUserId URL을 사용해서 Fridge 객체를 응답결과로 리턴받는다. 해당 URL은 쿼리스트링으로 userId 를 사용하므로 @RequestParam 애너테이션을 메서드 파라미터에 전달해서 userId 값을 쿼리스트링으로 호출한다.

loadFoodsByFridgeId 메서드는 새롭게 생성된 메서드인데, 기존의 API는 loadByUserId 를 호출해서 Fridge 객체를 리턴받으면 Fridge가 식품목록을 가지는 경우 배열로 응답결과에 식품목록이 같이 전달되었지만, Spring Data Rest를 사용함으로써 foods목록은 /fridges/{id}/foods GET URL에 매핑되어있다.
loadFoodsByFridgeId 메서드는 /fridges/{id}/foods GET URL을 호출하며, Resources<Food> 타입을 리턴한다. @PathVariable("id") int id값은 Fridge 식별자이다.

응답본문의 JSON 값은 다음과 같이 전달된다.
{
  "_embedded": {
    "foods": [
       {
          "id": 1,
          ...
       }
    ],
    "_links": {
         ...
    }
  }
}

"_embedded" 와 같은 JSON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List<Food> 타입으로 리턴받을 수 없다. 그래서, HATEOAS의 Resources 클래스로 리턴받는다. 이를 위해서 별도의 Feign Decoder 설정을 해줘야한다.
Feign 설정을 위해 FeignConfig 클래스를 작성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FeignConfig {
    
    @Bean
    public Decoder feignDecoder() {
        HttpMessageConverter jacksonConverter = new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customObjectMapper());
        ObjectFactory<HttpMessageConverters> objectFactory = () -> new HttpMessageConverters(jacksonConverter);
        return new ResponseEntityDecoder(new SpringDecoder(objectFactory));
    }

    public ObjectMapper customObjectMapper(){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objectMapper.configure(DeserializationFeature.FAIL_ON_UNKNOWN_PROPERTIES, false);
        JavaTimeModule javaTimeModule = new JavaTimeModule();
        javaTimeModule.addSerializer(LocalDate.class, new LocalDateSerializer());
        javaTimeModule.addDeserializer(LocalDate.class, new LocalDateDeserializer());
        objectMapper.registerModules(new Jackson2HalModule(), javaTimeModule);
        return objectMapper;
    }
    
    private static final DateTimeFormatter FORMATTER = DateTimeFormatter.ofPattern("yyyy-MM-dd");
    
    private static class LocalDateSerializer extends JsonSerializer<LocalDate> {
        @Override
        public void serialize(LocalDate value, JsonGenerator gen, SerializerProvider serializers) throws IOException {
            gen.writeString(value.format(FORMATTER));
        }
    }
    
    private static class LocalDateDeserializer extends JsonDeserializer<LocalDate> {
        @Override
        public LocalDate deserialize(JsonParser p, DeserializationContext ctxt)
                throws IOException, JsonProcessingException {
            return LocalDate.parse(p.getValueAsString(), FORMATTER);
        }
    }
    
}

feignDecoder Bean 메서드는 feign.codec.Decoder 를 리턴하는데 디폴트 설정을 덮어쓴다. MessageConverter를 설정하는데 customObjectMapper 를 전달한다. customObjectMapper 메서드는 ObjectMapper 클래스를 생성해서 리턴한다. DeserializationFeature.FAIL_ON_UNKNOWN_PROPERTIES 값을 false로 설정한다.
말 그대로 역직렬화시 알수없는 속성값이 있으면 역직렬화에 실패하는 설정을 끈다.

그리고, JavaTimeModule 클래스는 JSR-310 스펙으로 java.time 패키지의 JSON 직렬화 관련 모듈이다.
JavaTimeModule 에 LocalDate의 JSON 직렬화, 역직렬화 클래스를 추가한다.
직렬화 클래스는 LocalDateSerializer, 역직렬화 클래스는 LocalDateDeserializer 이다. 내부에는 DateTimeFormatter의 "yyyy-MM-dd" 포맷형식으로 직렬화한다고 선언한다.

ObjectMapper에 모듈을 등록하는데 (registerModules), JavaTimeModule 과 Jackson2HalModule 을 등록한다. Jackson2HalModule 은 HATEOAS 의 형태(link, rel)에 맞춰서 직렬화해주는 모듈이다.

Application 클래스에 @EnableHypermediaSupport 애너테이션을 추가한다.
@EnableHypermediaSupport(type=HypermediaType.HAL)
@SpringBootApplication
@EnableDiscoveryClient
@EnableFeignClients
public class Application {
    
    @Bean
    public LayoutDialect layoutDialect() {
        return new LayoutDialec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FridgeClient 의 loadFoodsByFridgeId 메서드의 리턴타입이 Resources<Food> 이기 때문에, 기존에 Fridge 클래스의 List<Food> foods 멤버 변수의 리턴타입을 Collection<Food> 로 수정한다.
@NoArgsConstructor
@Data
public class Fridge {
    private Integer id;
    @NotNull
    @Size(min=2, max=15)
    private String nickname;
    private Collection<Food> foods;
    @NotNull
    private Long userId;
    
    @Builder
    public Fridge(Integer id, String nickname, Long userId) {
        this.id = id;
        this.nickname = nickname;
        this.userId = userId;
    }

}

FridgeController 클래스에서 foods 목록을 View에 전달하기 위해서 수정한다.
@Controller
@RequestMapping("/fridges")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FridgeController {
    private final FridgeClient client;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EFAULT_NICKNAME = "myFridge";
    
    @GetMapping("/me")
    public String myFridge(@AuthenticationPrincipal Member member, Model model) {
        Fridge fridge = null;
        try {
            fridge = client.loadByUserId(member.getId());
        } catch(NotFoundException ex) {
            log.info(ex.getMessage());
            fridge = client.generate(Fridge.builder()
                    .nickname(DEFAULT_NICKNAME)
                    .userId(member.getId()).build());
        }
        
        Resources<Food> resources = client.loadFoodsByFridgeId(fridge.getId());
        fridge.setFoods(resources.getContent());
        model.addAttribute("fridge", fridge);
        return "fridges/fridge";
    }
    
}

client.loadFoodsByFridgeId 메서드를 호출해서 리턴값을 resources 변수에 담고, fridge 변수에 setFoods로 전달한다. Resources 클래스로 감싸고 있는 Food 목록값은 getContent메서드로 리턴된다.

이전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6
다음글: 냉장고 가계부 프로젝트 38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Dolphin 3

100자 이내의 짧은 글을 쓸 수 있는 게시판 제공. Dolphin Project에서 가장 메인 서비스는 예적금 시뮬레이터이므로, 다른 기능 구현은 차후로 미뤄뒀지만,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은 제공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들어 아주 단순한 게시판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글을 쓰려면 로그인을 먼저 해야합니다. 글을 등록 후 삭제할 때 글 작성자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게시판은 Dolphin Frontend Main 페이지에 자리잡았습니다. 사용자가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웹페이지이므로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로그인을 하기 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메인 페이지입니다. 글 상단에는 작성일(MMM-dd-yyyy)과 작성자 고유번호(#numbers)가 노출됩니다. Dolphin 은 네이버 로그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저 고유번호가 됩니다. 하단에는 글 내용이 자리잡습니다. 스크린샷에서는 Hello, world!! 라는 문구가 보이네요. 글은 최대 100자까지 허용합니다. 버튼 두개(Newer, Older) 는 페이징 버튼인데, Newer는 최근페이지로 이동을 하며, Older는 지나간 글을 보는 페이징버튼입니다. 기본 페이지 사이즈는 20개입니다. 오른쪽으로 보이는 글 작성 폼은 현재 로그인 하기 전이므로 textarea 는 disabled 처리되어 있고 Login버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음은 사용자가 로그인 한 뒤의 메인페이지입니다. 변경된 부분은 사용자 고유번호 뒤에 Remove 버튼이 나타났습니다. 해당 글 작성자가 로그인한 사용자일 경우에만 보이게 됩니다. 오른쪽 글 작성 폼도 이제 활성화 되었습니다. 아주 단순한 Textarea 창과 Submit 버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음은 작성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입니다. 사용자 고유번호(#54097272) 옆에 Remove 버튼이...

레거시 코드 활용 전략 - 마이클 C. 페더스

2장. 효과적인 피드백 활용 레거시 코드 변경 알고리즘 변경 지점을 식별한다. 테스트 지점을 찾는다. 의존관계를 깬다. 테스트 루틴을 작성한다. 변경시키고 리팩토링한다. 3장. 감지와 분리 레거시코드를 원자 단위까지 분리하여 변경지점을 식별한다. 의존관계를 가진 객체의 경우 Mock/Fake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로 의존성을 깬다. 테스트 루틴을 작성 -> 수정 -> 테스트 성공 -> 리팩토링 단계를 반복한다. 4장. 봉합 자바에서는 클래스패스를 이용한 다른 버전의 클래스를 만들수 있다. 5장. 레거시 코드를 위한 도구 JUnit 6장. 고칠 건 많고 시간은 없고 발아(Sprout) Method / Class: 메서드/클래스를 추가 포장(Wrap) Method / Class: 기존 메서드/클래스를 포장하는 메서드/클래스를 추가(데코레이터 패턴) 7장. 코드 하나 바꾸는데 왜 이리 오래 걸리지? 의존관계 반전 원칙 당신의 코드가 인터페이스에 종속되는 경우, 그 의존관계는 사실 경미한 수준으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인터페이스가 변하지 않는 한, 코드를 변경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인터페이스들은 그들 아래에 위치한 코드에 비해 훨씬 적은 빈도로 변경된다. 인터페이스를 하나 가지고 있는 경우,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들을 편집하거나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클래스들을 추가할 수 있다. 물론 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코드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다. 이런 이유 때문에 구체 클래스보다는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에 종속되는 편이 좋다. 덜 변하는 것들에 종속됨으로써 특정 변경이 초래할지도 모를 대규모 재컴파일 사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8장. 특징, 어떻게 추가할까? 테스트 주도 개발 실패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컴파일되게 만든다. 테스트에 통과하도록 만든다. 중복을 제거한다. 반복한다....

Dolphin 2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소셜 로그인 기능 제공으로 간편한 로그인 가능. Dolphin 프론트엔드는 회원가입 절차가 따로 없고, 간단하게 소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회원가입, 인증절차를 생략했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국내에서 잘 알려진 네이버의 API를 사용합니다. 네이버 개발자센터 웹사이트 에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기능을 살펴봅니다. 개발 문서를 자세히 살펴보고 API 신청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필수/선택에 체크합니다. 밑으로 내려보면 로그인 API 서비스 환경 부분에서 환경 추가 셀렉트박스에서 PC 웹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입력폼이 나타납니다. 서비스 URL은 내 웹애플리케이션의 URL이 될 예정입니다. 지금은 개발상태이므로 localhost를 입력했습니다. Callback URL은 네이버 OAuth 인증 url로 호출하면, 인증절차 후 네이버에서 리다이렉트해줄 url을 뜻합니다. 저는 /naver/login 으로 했습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client-id와 client-secret 값을 제공해줍니다. 이 값을 이용해서 인증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spring.io 웹사이트의 튜토리얼 문서를 보면 Facebook 소셜 로그인 기능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이 부분을 참고합니다. Spring Boot and OAuth2 pom.xml 파일에 의존성을 추가하고 Application 클래스에 @EnableOAuth2Sso 애너테이션을 선언합니다. 튜토리얼대로 application.yaml 파일(application.properties)에 설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clientId, clientSecret 값은 네이버 개발자센터에서 받은 대로 입력합니다. accessToke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d.naver.com/oauth2.0/token 입니다. userAuthorizationUri는 네이버의 경우 https://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