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 만기 해지 후 잔액을 예금상품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기능 제공.
기본적인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Simulator 페이지에 접근하면 적금계좌가 존재하는지 살펴봅니다.
적금계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적금계좌 생성(적금 상품 추천 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적금계좌가 존재할 경우, 만기에 도달한 계좌가 있는지 살펴봅니다.
만기 계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계좌 목록이 보여지게 됩니다.
만기 계좌가 존재 할 경우, 계좌 목록에 만기 해지 처리를 위한 버튼이 노출됩니다.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임의의 시간을 표현하는 버튼이 존재합니다.
2019년 02월 11일 이라는 버튼이 가로로 길게 뻗어서 놓여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달로 시간이 흘러가게 되고 적금계좌가 존재한다면 적금납부일에 맞춰 자동으로 납입합니다.
Alert 메시지창에 날짜가 변경되었다고 알려줍니다.
날짜 변경버튼은 이제 2019년 3월 11일이 되었고, 적금계좌의 잔액이 증가했습니다.
남은 기간도 365에서 337일로 줄고, 적금 납입 회차가 2회분으로 추가 납입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적금이 만기에 도달하면 만기 해지 버튼이 나타납니다.
적금을 해지하기 전까지는 날짜 버튼을 클릭해도 날짜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만기 해지 버튼을 클릭하면 원금 합계와 세전이자를 합한 금액에 이자소득세를 뺀 금액(15.4%)이 내 가상의 지갑으로 입금됩니다.
입금된 금액은 21,899,011원 입니다. 금액이 적힌 버튼을 클릭하면 상세한 지갑 입출내역이 보여집니다.
금액과 입출유형, 거래시각이 나타나있습니다.
지갑 버튼 옆에 예금 개설 버튼도 새로 생깁니다. 지갑에 돈이 일정이상 있을경우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예금 개설을 진행하면 지갑에 있는 잔액을 예금 계좌 개설에 사용합니다.
예금 개설 버튼을 클릭하면 가입 금액은 지갑에 보유중인 금액으로 정해지며, 해당 가입금액을 기준으로 예금 상품을 추천합니다.
만기 해지시 예상되는 금액 버튼을 클릭하면 상품 상세 정보 Modal 을 확인할 수 있고 하단에 계좌 개설버튼을 클릭하면 계좌가 개설됩니다.
계좌 개설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가상 지갑에 잔액이 0원이 되었습니다.
상세 내역을 보기위해 버튼을 클릭하면 예금개설 유형으로 -21,899,011원을 이체했다는 내역이 추가됩니다.
화면은 다시 적금 계좌 개설을 위한 월 납입 금액 입력 폼으로 돌아왔습니다.
왜냐하면, 지금 적금 계좌를 만기 해지한 뒤, 예금 계좌를 개설한 상태라서 보유중인 적금계좌가 없기 때문입니다.
항상 운용중인 적금 계좌가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적금 계좌를 개설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계좌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계좌 목록에 적금계좌와 예금계좌가 나타납니다.
계좌를 계속 운용하다 보면 지갑의 잔액이 5천만원이 넘어가는 경우가 생깁니다.
예금자 보호 기준 각 금융권별 5천만원까지의 예금은 보호됩니다.
이 부분을 고려해서 현재 운용중인 계좌들의 금융권에 잔액 5천만원을 넘기지 않는 금융권을 대상으로 추천합니다. 또한, 예금가입금액은 최대 5천만원 한도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운용중인 상품들은 키움예스저축은행의 적금계좌(가입금액: 250만원), 스타저축은행의 예금계좌(4600만원)이 있습니다.
또한, 지갑에는 3600만원정도 있습니다.
이때, 예금 개설 버튼을 클릭하면 추천되는 상품 중에서 스타 저축은행, 키움예스저축은행의 상품은 제외됩니다. 만기해지예상금액과 예금개설 가입금액 합산 5천만원이 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예금 개설의 경우, 가입 금액은 지갑의 잔액이 5천만원이 넘는 경우에도 최대 5천만원 한도로 설정합니다.
지갑 잔액은 약 7800만원 정도 보유중이지만, 예금 가입금액은 5000만원으로 설정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